Miscellany/禮法

제사지내는 법

Line7 2012. 1. 28. 05:43

1. 준비 :  분향강신(焚香降神) “향을 피우고 신께서 내려오시기를 기다린다.”


2. 인사 : 참신(參神) 술을 잔에 조금씩 따라 향을 쏘인 후 퇴주그릇에 붓고 절 + 독축(讀祝):생략


3. 술 대접 3번 :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 + 첨작(添酌)


4. 식사 대접 : 계반삽시(啓飯揷匙) 밥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 + 절

                    합문(闔門) 문을 닫는다, 신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모두가 나가고 문을 닫는 것(수저를 9번 드시는 시간)


5. 물을 올리고 : 계문헌다(啓門獻茶) 밥을 3번 떠서 물에 말아 드리고 절


6. 인사 : 사신(辭神) 신을 보낸다+ 지방을 불사른다

            철시복반(撤匙覆飯)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는다

            철상음복(撤床飮福) 제상을 거두고 복을 마신다

---------------------------------------------------------------

* 술잔을 향불 위에서 돌리는 것은 향을 바르게 많이 쏘인다는 뜻에서 正方向(시계방향)으로 3번 돌리는 것이 좋다.

* 제사 음식을 조금씩 덜어다 대문밖에 내놓는 풍습 : 저승사자를 위해 내어놓는 것에서 유래

* 지방 쓰는 법 : 현 고조 학생부군 신위나, 顯 高祖 學生府君 神位 문중제 顯 先代 全祖上님 神位


* 제사상  1열 : 주식(主食) / 2열 : 고기 / 3열 : 부침 / 4열 : 나물 / 5열 : 과일 

* 양(陽)적인 것은 동쪽, 음(陰)적인 것은 서쪽

고서비동(考西妣東). 할아버지는 서쪽, 할머니는 동쪽(이것만은 음양이 반대)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팔딱팔딱 뛰니 양(동쪽), 소 돼지는 느리니 음(서쪽,)

두동미서(頭東尾西). 머리는 양이라 동쪽, 꼬리는 음이라 서쪽,

배남복북(背南腹北). 둥은 양이라 남쪽, 배는 음이라 북쪽(배가 신위 쪽으로)

생동숙서(生東熟西). 생(生)것은 양이라 동쪽, 익(熟)은 것은 음이라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 포(脯)는 죽은 것이니 음(서쪽), 식혜는 살아있으니 양(동쪽),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색은 양이라 동쪽, 흰색은 음이라 서쪽,

조율이시(棗栗梨柿). 씨의 수대로 놓으라는 것


* 밥(메)과 국(탕)의 경우 : 동반서갱(東飯西羹) 또는 서반동갱(西飯東羹)

* 나물은 3색이 기본

* 제사상은 북(北)쪽에 차리는 것이 원칙


* 제사상에는 이 세상 모든 산해진미(山海珍味)를 차리는 것 

 : 산(山)에서 생산되는 것, 들(野)에서 생산되는 것, 집(家)에서 기른 것, 만든 것, 바다(海)에서 생산되는 것


* 큰제사(門中大祭)의 경우, “아주아주 많은” 이라는 뜻이 담긴 9그릇만 차리는 것(설,추석)

* 오신채(五辛菜) 고추, 파, 마늘, 생강, 식초 같은 것을 금하는 것은 불교에서 스님들에게 금하는 것

* 제사 지내는 날짜 : 돌아가신 날 子시 부터


'Miscellany > 禮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의 색깔  (0) 2012.02.07
남양 홍씨 항렬자  (0) 2011.11.30